대구, 옛 도청터 매입비 배정 ‘개발 청신호’…경북 예산 58% SOC

  • 최수경,임호
  • |
  • 입력 2019-12-12 07:18  |  수정 2019-12-12 08:21  |  발행일 2019-12-12 제2면
내년 국비 확보 ‘대구 611억 ↑ 3조1330억·경북 7777억 ↑ 4조4664억’

20191212
옛 경북도청 전경<영남일보 DB>


대구

대구시의 내년도 국비예산 총액은 3조1천330억원으로 확정됐다. 올해보다 611억원이 늘었고, 내년도 당초 정부안보다 940억원이 증액됐다. 신성장 미래산업과 SOC분야에선 나름 선방했지만 자유한국당이 배제된 4+1 여야 협의체가 제출한 수정안이 채택되면서 목표액만큼의 증액(1천500억~2천억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주요사업 예산 내역에 따르면 우선 물산업클러스터 활성화와 관련해 물산업유체성능센터 건립비 16억원을 확보했다. 5G기반 첨단제조로봇 실증기반 구축(38억원), 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플랫폼 구축(40억원) 사업도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특히 예타를 통과하고도 사업타당성 재조사 위기까지 내몰렸던 ‘의료기술시험훈련원’ 건립 사업은 일단 26억원을 확보해 고비는 넘겼다.

20191212

SOC의 경우 대구 산업선철도(서대구고속철도역~국가산단·총 사업비 1조2천800억원) 사업에서 99억원을 따냈다. 초기 공사에 필요한 시드머니를 확실히 챙긴 셈이다. 특히 주목받은 것은 경부선 도심통과구간 지하화사업(총 사업비 8조700억원)이다. 이번에 사업 타당성 용역비 20억원이 책정됐다. 대구시는 “국가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옛 경북도청 후적지 매입비 500억원(200억원 증액)이 배정된 것도 괄목할 만한 성과다. 정부는 당초 총 부지매입비(2천112억원) 가운데 잔여 매입비 901억원을 2022년까지 연차적으로 나눠 집행하기로 했었다. 현 추세라면 2021년까지 나머지 401억원 지급이 완료될 전망이다. 후적지 개발사업이 조기착공될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2017년 3월 예타를 통과하고도 진척이 없는 국립청소년 진로직업체험 수련원 건립 사업(총사업비 537억원)은 이번에도 단 한푼도 예산을 배정받지 못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경북


20191212

내년도 정부 예산안이 지난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경북도는 건의사업 318건에 4조4천664억원을 확보했다. 이는 전년도 3조6천887억원보다 7천777억원(21.1%) 늘어난 규모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SOC분야다. 중앙선 복선전철화(도담~영천)를 비롯해 중부내륙단선전철(이천~문경), 포항~영덕 고속도로 건설(남북7축), 동해선전철화(포항~동해), 구포~생곡 국도대체우회도로, 울릉일주도로2 건설, 영일만횡단구간 고속도로(포항~영덕) 등에 2조5천915억원이 반영됐다. 연구개발분야는 5G 기반 VR·AR 디바이스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로봇직업혁신센터 사업, 탄소산업 클러스터 조성,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소재 개발 및 육성(26억원), 수중글라이더 핵심장비 기술 개발 등 2천406억원을 확보했다.

농림수산분야는 포항영일만항 국제여객터미널 건설, 독도비즈니스센터 건립, 축산(영덕)블루시티 조성, 울진해양치유시범센터 조성, 내수면 관상어 비즈니스센터 건립 등 6천154억원이다. 문화관광분야는 국립 문화재수리재료센터 건립, 전국체육대회 방송중계 지원, 세계유산하회마을방문객센터 설립 등 1천591억원이다.

특히 도가 확보한 내년도 신규사업 36건(반영액 910억원)은 경북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스마트 제조공장의 기반 기술인 로봇직업혁신센터를 비롯해 5G기반 VR·AR 디바이스 상용화지원센터, 사물무선충전 실증기반 조성 등 신규사업은 최종단계까지 가면 5조8천여억원으로 늘어난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임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