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경북 경제통합, 실패한 前轍 답습 말아야

  • 김기오
  • |
  • 입력 2018-08-14   |  발행일 2018-08-14 제31면   |  수정 2018-09-21

광역경제권 구축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다. 규모의 경제를 확립하고 지자체 간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덴 광역경제권만한 전략이 없다. 그 전범(典範)이 간사이 광역경제권이다. 일본 오사카·교토와 시가·나라·고베 등 2부 7현은 2010년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간사이 광역경제연합을 구축했다. 이후 침체됐던 지역경제가 살아나며 일자리가 증가했고 주민 소득도 늘어났다. 독일 뮌헨 광역경제연합, 슈투트가르트 광역연합, 오스트리아 알프스자연공원 클럽도 광역경제권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대구·경북 한뿌리상생위원회가 13일 공동선언문을 채택하면서 대구와 경북의 광역경제권 구축이 다시 화두로 떠올랐다. 한뿌리상생위원회는 2014년 11월 출범했으나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선언문 채택은 사실상 이름뿐이었던 한뿌리상생위원회를 재가동한다는 의미다.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첫걸음이기도 하다. 민선 7기의 대구·경북 광역단체장이 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해 손을 잡은 것은 환영할 일이다. 대구통합공항 건설, 낙동강 맑은 물 공급체계 구축, 문화관광자원 공동 마케팅 같은 현안도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기실 대구·경북 경제통합이 추진된 지는 10년이 넘는다. 2006년 당시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의 제안으로 대구·경북 경제통합위원회가 구성됐으나, 경북 북부지역의 반대에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유야무야되고 말았다. 이는 한뿌리상생위원회가 지향하는 대구·경북 경제공동체 구축 여정이 지난(至難)함을 예고한다. 행정구역 경계를 둘러싼 권한·책임도 상생협력의 장애요인이다. 행정이기주의·지역주의를 넘어서는 게 경제통합 성공의 관건이라는 얘기다. 광주와 전남이 나주혁신도시를 공동으로 조성한 사례는 지역이기주의 극복의 귀감이 될 만하다.

한뿌리상생위원회의 구체적 어젠다 발굴도 중요하다. 대구 취수원 이전 같은 민감한 현안도 기피해선 곤란하다. 통합교통카드는 대구·경북의 상생을 시·도민이 체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다. 대구·경북 경제통합을 추동하기 위해선 공동기금 조성과 지역 국회의원의 참여는 반드시 필요하다. 유럽연합(EU)은 1957년 출범한 유럽경제공동체(EEC)에서 시발됐다. 나라끼리도 공동체를 구축하는 마당에 지자체 간 경제통합을 못할 이유가 없다. 단단한 결속력으로 과거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길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