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경북 새 경제공동체에 기대를 거는 이유

  • 김기오
  • |
  • 입력 2018-08-13   |  발행일 2018-08-13 제31면   |  수정 2018-09-21

대구·경북 경제권의 공동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한층 강화한 ‘대구경북 한뿌리 경제공동체’가 13일 공동선언문 채택으로 첫발을 내디딘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기존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위원회의 공동위원장을 맡고, 두 시·도의 경제현안을 강력하게 추진한다는 게 골자다. 대구경북 경제발전을 위한 투자유치와 특화산업 육성, 농수산물 유통 촉진을 위해 구체적인 협력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대구경북의 우수 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공동마케팅을 강화하고, 지역 대학·기업의 인재양성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함께 시도된다. 지지부진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과 낙동강 맑은 물 공급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대구 도시철도의 경북 연장·광역도로 건설·대구와 인접 시·군의 도시계획 공동 입안도 긴밀한 협력으로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작금 대구경북의 경제·정치·사회 상황은 총체적으로 난국이다. 무엇보다 경제가 문제다. 자동차부품·전자부품·휴대폰 제조·철강 등 대구경북지역 제조업을 견인해온 주력 산업이 경쟁력 상실 및 경쟁국의 저가 공세로 수출·내수 판매가 부진하다. 주력 제조업이 부진하니 청년 일자리 등 시급한 화두인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때문에 호황을 겪고 있는 미국·일본 경제의 노동시장 수급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언도 나오고 있다. 그런데 인구구조·노동시장 여건 등 한국의 경제 토대는 미국·일본과는 다르고 저성장 기조에 돌입한 경기 상황도 간단치 않아 문제다.

이번 시도는 시장과 도지사가 직접 각종 현안 해결과 지역 활성화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4년전 만들어진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위원회는 지금까지 행정부시장과 행정부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아 한계가 없지 않았다. 재선되면서 중량감이 커진 권영진 대구시장과 경북도 부지사·국회의원직을 거친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추진력에 거는 시·도민의 기대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지금 대구경북지역은 정권교체 이후 심각한 상실감에 시달리고 있다. 현 정부로부터 정부요직 인사나 각종 사업에서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는 피해의식도 만만찮다. 그런 만큼 이번에 획기적인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 실패할 경우 시·도민의 삶의 질이 떨어지고, 대구·경북은 상대적으로 뒤처지게 될 것이 자명하다. 다행스럽게도 대구와 경북이 한뿌리라는 동류의식은 탄탄해 정서적 기반이나 초반 분위기는 좋은 편이다. 다만 실질적 개선이 아닌, 선언적·전시성 실적을 경계할 뿐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