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직 소방관 주당 근무 50시간 훌쩍 넘어…2교대도 만연

  • 강승규
  • |
  • 입력 2018-04-10 07:18  |  수정 2018-04-10 07:18  |  발행일 2018-04-10 제6면
대구·경북 소방인력 실태조사
20180410
대구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관들이 화재현장에서 진화에 여념이 없다. 소방관들이 목숨을 걸고 재난 현장에 투입되고 있지만 처우는 그에 상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258명. 지난해 12월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와 지난 1월 경남 밀양 세종병원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참사의 사상자 수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80명, 부상자는 178명에 달한다. 지난달 30일 충남 아산시에선 여성 소방관과 임용 예정인 여성 교육생 2명 등 모두 3명의 소방관이 도로에 방치된 개를 포획하던 중 교통사고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수십 명의 생명을 앗아간 대형 화재와 소방관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부가 무엇보다도 소방관 처우 개선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방관들의 숙원으로 행정안전부가 지난해 하반기 발표한 ‘국가직 전환’을 신속히 추진해 지자체마다 제각각인 처우를 개선하고, 인력부족 사태도 서둘러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북 소규모 소방서 특히 열악
소방관 1명뿐인 지역대도 11곳
목숨걸고 일해도 수당은 6만원
“군인·경찰급 대우 필요” 청원도

대구 소방관 1인 담당인구 감소
지난해 화재 발생 전년보다 줄어



◆화재 대구 줄고 경북 늘어 ‘대조’

20180410

지난해 대구지역에는 총 1천612건의 화재가 발생해 69명(사망 8·부상 61)의 인명피해와 92억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이는 하루 4.4건 화재가 발생해 0.2명의 인명 피해와 2천500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셈이다. 화재 원인은 부주의가 799건으로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이어 전기적 요인 337건(21%), 기계적 요인 146건(9%) 순으로 대부분 안전관리 소홀로 분석됐다. 부주의 중에선 담뱃불 취급(43%)과 음식물 조리(16%)가 절반을 넘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화재가 전년(1천739건) 대비 7.3%, 인명피해 27%(2016년 94명), 재산피해 83%(2016년 533억원) 감소했다는 점이다. 또 적극적인 화재진압 활동으로 866명(유도대피 818명·인명구조 48명)의 시민을 위험에서 구했다.

반면 경북에서는 지난해 총 2천816건(하루 평균 8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는 2016년보다 165건(6.2%) 늘어난 것. 인명피해도 27명(21.3%) 늘어난 154명으로 집계됐다. 재산피해 역시 4억5천800만원(1.8%) 증가한 250억9천100만원으로 나타났다. 발화 원인은 부주의가 1천266건(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기적 요인 546건(19.4%), 기계적 요인 365건(13%)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소방관 1명이 북 치고 장구 칠 판

“잦은 화재현장 출동과 불규칙한 근무 여건에 지쳐 그만두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인력부족은 소방관의 과중한 업무량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일선 소방서 소방관들은 행정직과 현장직으로 나뉜다. 일반 사무를 보는 행정직은 오전 9시 출근해 오후 6시 퇴근할 수 있지만 대다수 밀린 업무 때문에 늦은 시각까지 연장 근무한다. 3교대 근무가 원칙인 현장직의 경우 주당 평균 근무시간이 50시간을 훌쩍 넘는다. 인력 문제 등 현지 여건에 따라 임시로 2교대 근무하는 소방서도 적지 않다. 휴무일엔 동료 소방관의 눈치를 보며 쉬는 경우가 다반사다.

특히 경북지역에 위치한 소규모 소방서의 현장 직원들은 인구 대비 소방인력이 크게 부족하지만 관리해야 할 마을 면적이 넓어 일반 화재나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방관 1명만 상주하는 ‘1인 지역대’가 경북에 11곳이나 될 정도다. 나홀로 지역대는 소방관 1명이 화재현장으로 펌프차를 운전한 뒤 소방호스를 잡고 있다. 여기에 동력절단기도 혼자 작동해야 한다. 또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는 의용소방대로 연락해 소방·구조 활동을 요청하는 탓에 일반 지역대보다 대응이 늦을 수밖에 없다.

◆“군인·경찰과 동등한 예우 해달라”

목숨을 걸고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관들은 위험근무수당으로 월 6만원을 받는다. 2002년 3만원과 비교해 3만원 오른 수준이다. 화재진화수당은 10년 동안 최대 월 8만원에 묶여 있다. 최근 국민청원 게시판에 ‘소방공무원 복지 향상에 힘써 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글이 올라왔다. 청원자는 “위급한 현장에서 국민 생명을 구하는 소방공무원의 위험수당이 월 6만원이라는 게 믿기지 않는다"며 “수당 신설 및 수당 인상을 해달라"고 청원했다.

소방관이 체감하는 느낌도 비슷했다. 최근 실시한 ‘소방보건안전 및 복지실태조사’에 따르면 소방공무원 1만9천8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소방관 69.7%는 군인과 경찰에 비해 소방관에 대한 보상과 예우 수준이 낮다고 응답했다. 또 소방관 63.11%가 자신의 연봉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공하성 우석대 교수(소방안전학과)는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소방조직의 국가직 전환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1인당 담당 인구 일본보다 많아

대구 소방공무원의 1인당 담당 인구는 전년보다 향상됐다. 2018년 기준 대구 소방공무원(올해 채용인원 포함)의 1인당 담당 인구는 989명이다. 이는 2017년(1천55명)보다 6.2% 감소한 것. 서울은 1천410명으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어 울산(1천145명), 부산(1천85명), 광주(1천60명), 대전(1천44명), 인천(1천33명) 순이다. 도 단위 광역자치단체에선 경기(1천422명)가 가장 많았다. 이어 충북(801명), 전북(774명), 경남(750명), 충남(698명), 경북(644명) 순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OECD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1천89명)은 미국(1075명), 프랑스(1029명), 일본(820명) 등 선진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강승규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