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성모병원서 불상 머리 속 불경 CT 촬영한 사연은?

  • 김기태
  • |
  • 입력 2017-05-25 07:10  |  수정 2017-05-25 07:26  |  발행일 2017-05-25 제2면
20170525
건칠불좌상에서 나온 대반야바라밀다경. 연합뉴스
20170525
남원 실상사 건칠불좌상 머리 부분에 있었던 불경. 연합뉴스

전북 남원 실상사 건칠불좌상의 머리 안에서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사경(寫經)이 발견된 가운데, 포항성모병원이 국내 최초로 불상을 CT 촬영해 이 사경의 존재를 확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다.

대한불교조계종 실상사와 불교문화재연구소는 포항성모병원에서 건칠불좌상을 3D-CT(컴퓨터 단층촬영) 장비로 촬영해 뽕나무 종이에 은가루로 경전을 쓴 ‘대반야바라밀다경’을 찾아냈다고 24일 발표했다. 사경은 전체 600권으로 구성된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제396권으로, 병풍처럼 접을 수 있는 절첩장 형태다. 크기는 가로 11.8㎝ 세로 30.6㎝이며, 끝부분에는 ‘이장계(李長桂)와 그의 처 이씨(李氏)가 시주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연구소는 앞서 2005년 이 불상을 X선으로 촬영해 머리에 복장물(불상 안에 넣는 물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나 실체는 파악하지 못했다. 건칠불(乾漆佛)은 흙으로 빚어 형태를 만든 다음 그 위에 삼베나 종이로 틀을 제작한 뒤 반복적으로 옻칠을 해서 만드는 불상이다. 이 때문에 내부를 정밀히 들여다볼 수 있는 3D-CT 장비가 필요했다.

전북 남원 실상사 건칠불좌상
은가루로 쓴 고려 ‘사경’발견

유적연구원 대학동문 근무병원
유물촬영 경험…같은 방법 조사

이름-건칠불좌상, 나이-500살
컴퓨터에 입력한 일화도 소개



이에 임석규 연구소 유적연구실장이 지난해 6월 대학 동문이 근무하는 포항성모병원에 의뢰하면서 국내 최초로 불상 CT촬영이 진행됐다. 임 실장은 “지난해 초 삼척의 한 사찰에서 흙에 묻힌 금동장식판을 발견했다. 흙 제거도 어려웠고, 손수건처럼 얇게 접혀 있어 대학 동문이 있는 포항성모병원에서 CT촬영을 한 적이 있다”면서 “이후 지난해 6월 실상사 건칠불좌상을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게 됐다”고 국내 최초 불상 CT촬영 사연을 소개했다.

임 실장은 이어 CT촬영 당시 재미있는 일화도 덧붙였다. 그는 “CT 촬영을 위해서는 장비에 달린 컴퓨터에 반드시 이름, 성별, 나이를 입력해야만 했다”며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이름은 건칠불좌상, 성별은 남성, 나이는 500살로 입력했다”고 말했다.

한편 CT촬영을 통해 복장물의 실체를 알게 된 연구소 측은 이틀 뒤 사경을 수습했고, 연구보고서 등을 작성한 뒤 11개월 만인 이날 공개하게 됐다. 임 실장은 “조사를 통해 금속성 물질로 글자를 쓴 책이 접혀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불경의 보존상태가 염려돼 수습했다”고 말했다.

포항=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기태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